클라우드

· 클라우드
사이드 개발하고 있는데 ㅜㅜ FE한테 원활하게 API제공을 해주기 위해서 CI/CD 구축을 해보려고 한다. jenkins에서 너무 잘 제공해주고 있어 설치부분은 넘어가겠다. 👉🏻 jenkins AWS에서 제공하는 EC2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프리티어 메모리가 1GB라서 Jenkins를 통해서 Gradle Build할 때 ㅜㅜ 자꾸 멈치고 오래걸리는 현상 때문에 AWS EC2서버를 중지하고 재시작 해야되는일이 많아서 탄력적IP를 사용해서 테스트해보다보니ㅜㅜ 좋은게 있었다. Swap 메모리 설정을 통해서 해결하자!! 👉🏻 AWS에서 쉽게 적어주셨다. 여기서 잘 설명해주시니 밑에 링크를 참고하자! [AWS] Swap File을 이용해 EC2 메모리 부족 현상을 해결해보자 작업을 하던 중 aws ec2 ..
· 클라우드
MySQL 서버를 만들고 Redis도 생성하려고 한다. 우선 Redis Image 내려받았다. docker pull redis:latest Redis network 생성 # redis-network란 이름으로 Docker network를 생성한다. docker network create redis-network 😅 network의 종류 bridge - 네트워크는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 내에서 여러 컨테이너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host- 네트워크는 컨테이너를 호스트 컴퓨터와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컨테이너를 돌리기 위해서 사용된다. overlay- 네트워크는 여러 호스트에 분산되어 돌아가는 컨테이너들 간에 네트워킹을 위해서 사용된다. network 생성 확인 docker network ls 나는..
· 클라우드
첫 사이드 프로젝트로 개발 공부에 목적이 크기 떄문에 EC2:Ubuntu에 docker에 mysql, redis 같이 올리려고 한다. Docker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Ubuntu 설치하기를 보고 했다. 이후 도커에서 MySQL이랑 Redis를 띄우려고 한다..! docker daemon이 실행되지 않아서 실행해 줬다.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MySQL port인 3306을 인바운드 규칙에 수정해두었다. 아직 docker에 정말 이미지 컨테이너 기본만 알고 있는 상태라서 다음에 공부를 따로 해야될거 같다...! 도커에서는 암시적 볼륨과 명시적 볼륨이 존재한다고 한다. # volume 생성 sudo docker volume create mysql-volume # volume ..
· 클라우드
우선.. 노베이스인 나한테는 자료를 찾아보면서 궁금증이 있었다. 검색하다 보니까 yum, apt-get 을 많이 사용하는데 차이점을 잘 모르겠어서 공부하기 좋은 환경인거 같긴하다... 만났던 오류들....! 나는 Termius를 사용하고 있다. 저번에 만들어둔 이미지를 이용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했다.!! 그리고 저번에 만들어준 키 페어를 이용해서 local환경에서 내 EC2환경/AmazonLinux에 build된 파일을 복사하려고 한다. Amazon EC2 인스턴스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EC2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사용한 SSH 키 페어를 통해 접속해야 합니다. 따라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대신 SSH 개인 키를 사용하여 접속해야 한다... 맨처음 너무 생각없이 EC2환경에서 명령어를 수행해서 키를 만들어주..
uhanuu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글 목록